무역관련 업무를 진행하다보면 자주 사용할 수 밖에 없는 무역관련 용어(통상 인코텀즈)라고 하는데 업계나 업체 특성상 주로 몇 가지 경우의 수를 가지고 반복적으로 사용하다 보니 익숙한 것들만 사용하게 되죠. 
전체적인 내용을 정리하자면 정리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인코텀즈  :  INCOTERMS
국제상업회의소에서 각국의 무역 용어를 조사하여 작성한 무역조건에 대한 국제규칙 


Group

내용

운송조건

Group E
(출발지 인도)

판매자가 운송비의 부담을 지지 않고 영업장에서 상품을 넘기는 조건

EXW(ex works, 작업장 인도조건)

Group F
(운송비 미지급 인도)

•판매인인 운송비를 부담하지 않고, 선적지에서 상품을 넘기는 조건
•매수인이 운송계약과 운임지급의 의무를 가지므로 매도인은 운송인 또는 운송수단에 상품을 넘길 때 상품에 대한 위험부담이 면제되어 이 시점에서의 위험부담은 매수인이 가짐

FCA(free carrier) : 운송인 인도조건
FAS*(free alongside ship) : 선측 인도조건
FOB*(free on board) : 본선 인도조건

Group C
(운송비 지급 인도)

•판매자가 주운송비를 부담하고 선적지에서 상품을 인도하는 조건
•매도인이 비용을 부담해 목적지까지의 운송계약을 체결하지만 이것은 도착지 인도조건이 아니고, Group F 조건처럼 선적지 인도조건으로 보기 때문에 수출국의 지정장소(본선 또는 최초의 운송인)에서 상품에 대한 위험부담이 매수인에게 넘어가고 이후에 발생되는 사고와 관련된 책임은 매수인이 가짐

CFR*(cost and freight, 운임포함 인도조건)
CIF*(cost insurance and freight, 운임⋅보험료 포함조건)
CPT(carriage paid to, 운송비 지급조건)
CIP(carriage and insurance paid to, 운송비⋅보험료 지급조건)

Group D
(도착지 인도)

•판매인이 목적지까지 상품을 운송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위험과 비용을 부담하고 인도하는 조건
DAFDESDEQDDU : 수입통관절차를 행할 의무가 매수인에게 있음
DDP : 매도인이 수입통관절차를 행해야 함은 물론 수입관세도 납부해야 하기 때문에 DDP 조건은 매도인이 수입통관에 따른 모든 절차를 책임질 수 있을 때 가능함

DAF(delivered at frontier) : 국경 인도조건
DES(delivered ex ship) : 착선 인도조건
DEQ*(delivered ex quay) : 부두 인도조건
DDU(delivered duty unpaid) : 관세 미지급 인도조건
DDP(delivered duty paid) : 관세 지급 인도조건

 운송조건에서의 *는 해상운송에 적용되는 조건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인코텀스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FOB (Free On Board) 

무역상거래조건의 하나이며 CIF와 더불어 가장 많이 사용된다. 매도인이 약속한 화물을 매수인이 지정한 선박에 적재, 본선상에서 화물의 인도를 마칠 때까지의 일체의 비용과 위험을 부담한다. 그 이후에는 매수자의 책임이 된다(CIF에서는 도착항까지 매도자의 책임). FOB가격이란 본선적재가격 또는 수출항본선인도가격이라고도 하며 무역상품을 선적항에서 매수자에게 인도할 때의 가격을 말한다.

출처 : NEW 경제용어사전, 2006. 4. 7., 미래와경영


CIF (Cost Insurance and Freight) 

운임 보험료 포함가격! 운임보험료부담조건을 말한다. 무역거래조건의 하나로, 판매자가 화물의 선적을 포함하여 보내는 목적지까지의 모든 운임과 보험료를 부담하는 방식의 무역계약을 의미한다. CIF가격은 국제 거래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며, CIF가격에 표시항은 도착항을 표시한다. 국내 수출입 화물의 가격기준은 수출시에는 FOB, 수입시는 CIF로 한다.
비교하자면 FOB 가격에 운임과 보험료를 가산하면 CIF가 된다.


Posted by 조현민

업무 중에 직원과 이야기하다가 '후루꾸로 잘 맞았네'란 말을 불쑥 하게 되었다. 

그런데... 잘 생각해보니, 흔히 쓰는 말인데 이게 어느 나라 말인지.... 그래서 찾아 보았다. 

 

보통 당구칠 때 쓰는 용어로, 일본말이라고 생각하고 있었으나, 그 어원을 찾아보니 

사실 영어의 일본식 발음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후루꾸의 원래 발음은 fluke

fluke2 n. 


1 【당구】 플루크 ((공이 요행수로 맞음)) 
2 《구어》 요행수, 요행 
win by a ~ 요행수로 (이기다) 
vi., vt. 《속어》 요행수로 맞(히)다; 요행으로 득점하다


비슷한 말로 '뽀록'이란 말도 자주 쓰는데 이 단어도 사실 후루꾸~ 뽀로꾸~ 뽀록.. 이런 식으로 변질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음. 

둘 다 어원은  영어의 [Fluke:요행]에서 온 말이라는 것!  일본식 발음으로 [フルク]가 된다.

어쩌다가 맞은 요행수라는 뜻!  이제 확실히 기억하자!! ^^


Posted by 조현민

'법블레스유' 

- '법이 아니었으면 너는 이미 맞아 죽었다.'란 뜻으로 어느 트위터리안이 사용한 것이 시초라 함. 

- 너는 단지 법의 은총 덕분에 살고 있는 것이다. 

- 욕해봤자 내입과 SNS만 더러워질 때 사용 


'TMI' 

- Too Much Information 의 줄임말

- 굳이 알고 싶지 않은 말을 과도하게 알려줄 때, 간단하게 거부하면서 사용하는 말  

- 과거 '안 본 눈 삽니다'와 비슷한 의미지만, 시각적 정보에 국한되지 않은 점에서 차이가 있다 함. 

 

'톤그로' 

- 색을 뜻하는 영단어 'tone'과 문제를 뜻하는 영단어 'aggro'를 합쳐 만든 신조어 

-본인의 얼굴 톤에 맞지 않는 화장품을 써서 어색함을 뜻함. 

-정 반대의 뜻으로는  ‘착붙’이라는 말을 씀  

-“예쁘면 톤그로 따위 없다”는 만고불변의 진리 



Posted by 조현민

오늘도 역시나 생전 처음 보는 용어 발견...당황하지 않고 일단 또 알아봅니다. 


CVID :  Complete, Verifiable, IrreversibleDismantlement의 약자.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돌이킬 수 없는 폐기를 의미함. 

미국이 과거 부시행정부 시절 북핵 사태 해결의 원칙으로 제시한 원칙이며, 이에 대해 북한은 패전국에서나 사용할만한 용어라며 강력 반발한 바 있음. 

북한의 핵개발폐기정책


CVID 원칙에 대한 최초 언급과 재 언급 

2003년 8월 27일 개막된 1차 6자 회담에서 미국이 북핵 문제 해결 방안으로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폐기”(Complete, Verifiable and Irreversible Dismantlement: CVID) 원칙에 따른 ‘선 핵폐기’ 조치를 북한에 요구함. 바로 이때 CVID라는 용어가 처음 언급되었음. 

당시엔 이러한 입장이 핵 문제를 해결하는데 오히려 장애가 된다는 부정적 여론에 밀려 2004년 6월 23일 열린 3차 6자 회담에서부터 CVID 원칙을 좀 더 완화한 ‘포괄적 비핵화’(comprehensive de-nuclearization)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으로 알려짐 

이후 2005년 7월 26일부터 개최된 4차 6자 회담에서는 CVID 표현을 사용하지 않았으며,2005년 4차 6자 회담 2단계 회의에서 채택된 ‘9•19 공동성명’에서 CVID 원칙이란 표현은 변화되어, “한반도의 검증 가능한 비핵화”와 북한은 “모든 핵무기와 현존하는 핵계획을 포기한다”는 다소 표현이 완화되기도 했음. 

그러나 최근에는 대북 강경론을 주장하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정부에 의해 다시금 매우 강경한 태도를 유지하면서 CVID가 공식적으로 다시 사용되며 언급되고 있음. 

Posted by 조현민
대부분 남성 위주로 이루어져 있는 사회 각계각층에서 권력을 갖고 있는 자들 중 일부에서 있어왔던 '권위'를 이용한 성추행, 성폭행 등에  대한 반발로 미투 운동이 빠르게 퍼져나가고 있는 가운데, 이른바 '남성들의 대응법'의 하나로 펜스룰이 주목 받고 있습니다. 


펜스 룰(Pence Rule)

현재 미국 부통령인 마이크 펜스의 이름을 따서 만든 것으로,  2002년 미국 의회 전문지 '더 힐' 인터뷰에서 언급한 자신만의 철칙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습니다. 당시 그는 "아내 이외 여자와는 절대로 단둘이 식사하지 않는다"고 하면서, 구설에 오를 수 있는 행동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아내 외 다른 여성들과 개인적인 교류나 접촉을 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히며 세운 나름의 처세술을 뜻합니다. 
 


이를 두고 '진정한 신사 정신 (Real gentleman spirit)이라고 치켜세우는 부분도 있었지만,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미투운동'의 대응 방법으로 주목을 받으면서 또 한편으로는 여성들이 사회생활에 정당하게 참여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루트를 차단하는 역차별이라는 의견도 나오면서 의견 대립이 팽팽해지고 있습니다. 


단순하게 바라본 변증법의 논리로 보았을 때, 미투운동이 '정'이라면 그에 반하는 '반'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사례가 아닐까 싶은데요. 

서지현 검사의 '미투운동'이 그 시발점이 되고, 여성 뿐만 아니라 많은 남성들에게도 공감을 얻으면서 점점 더 확산해가는 가운데, 이에 대한 반발과 우려 속에 '펜스룰'이 고개를 들면서 반대급부의 파장이 일 것으로 보입니다. 

미투운동에 대한 우려를 극단적인 형태로 희화화한  아래와 같은 삽화에서도 보여지듯이 다양한 형태의 반발디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출처 : 네이버 바이크파케 비튜매 http://cafe.naver.com/bikecargogo/2245909


 그러나 실제로 위 삽화와 같은 극단적인 형태로 갈 리는 없을 것이고요. 

정>반>합의 과정을 거치는 가운데, 미투운동의 취지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분들이 공감하고 있는 만큼, 새로운 대안이 제시되고 또 다수의 대중들이 합의하는 형태로 진화되어 가리라 기대해 봅니다.  ^^ 

 


Posted by 조현민

잘 사용하긴 하지만, 정확히 의미와 기준은 몰랐던 화면 해상도 용어 정리해봤습니다. 


영상의 사실감을 구현하기 위해 해상도가 점점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고, Full HD를 넘어 요즘은 UHD가 대세가 되고 있는 양상입니다. 그러나 핸드폰의 경우, 아직 SD영상도 많죠. 


SD(Standard Definition) : 640x480, 720x480


HD(High Definition) : 1280x760


Full HD  : 1920x1080


4K UHD(Ultra High Definition) : 3840×2160


8K UHD(Ultra High Definition) : 7680×4320



해상도는 한 프레임에 몇 개의 픽셀(Pixel)을 담고 있는가에 따라 결정됩니다. 

픽셀은 화면에 구성되는 한 영상을 나누어 보여 주는 작은 점들을 뜻하며, 같은 크기에서 픽셀 수가 많을수록 당연히 더 많은 묘사력을 갖게 되는 것이죠. 

대형 디스플레이에서는 사물을 좀 더 선명하게 보여 주기 위해서는 더 많은 픽셀 수가 필요하게 되는 것이고, 자연스레 55인치 60인치를 넘어 70인치 이상 80인치의 TV가 나오는 요즘은 4K UHD가 대세가 되어가는 것이죠. 아마 그 다음 단계는 좀 더 대형화로 가면서 8K도 나오게 되겠죠? ^^



*LG디스플레이 블로그 이미지 참고 



Posted by 조현민

오늘 기사를 읽다가 익숙한 듯 낯선 용어를 발견했습니다,. 



특허청, 모태펀드 550억 출자…1천억 펀드 조성



하여 찾아봤습니다. 




모태펀드(fund of funds)


1) 투자자가 불특정 개인이나 기업(단체)이 아닌 일반펀드로 구성된 펀드를 말하며, 펀드가 가입하는 펀드(fund of funds)인 셈으로 `재간접펀드'라고도 함. 재간접펀드는 자산운용사가 직접 주식이나 채권에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주식이나 채권 등에 투자하는 펀드에 재투자를 하는 펀드로, 여러 펀드에 분산투자해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수익을 추구함. 분산투자를 하기 때문에 투자 위험(리스크)을 줄일 수 있는 것이 재간접펀드의 가장 큰 장점임.

또 해외 주식이나 채권 직접 투자가 어려울 경우 재간접펀드를 이용하면 투자를 쉽게 할 수 있음. 예를 들어 중국 기업 주식이나 채권에 직접 투자하려면 중국 정부의 외국인 투자 규제로 적지 않은 제약이 따르지만 중국 자본시장에 자유롭게 투자할 수 있는 해외 자산운용사의 펀드에 투자를 하면 중국 기업에 직접 투자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 해외 헤지펀드 등 일반 개인 투자자들이 접근하기 어려운 펀드에도 투자가 가능함.

더구나 시장에서 검증된 펀드만 골라 가입할 수 있어 펀드 운용의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운용 실적이 좋은 펀드만 선택해서 분산투자하면 투자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안정적인 운용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음. 하지만 재간접펀드는 가입한 펀드가 또 다른 펀드에 투자하는 이중구조의 상품이므로 수수료가 다소 비싸다는 단점이 있음.


2)국내에서는 일반적으로 모태펀드를 2005년 6월 유망 창업·벤처 기업 육성을 위해 정부주도로 설립된 한국벤처투자가 운영 중인 펀드를 말한다. 모태펀드는 벤처펀드에 돈을 나눠주는, 이른바 ‘펀드 오브 벤처펀드’다. 각 정부부처가 관련 업계 벤처기업 및 프로젝트에 투자하기 위해 출자한 정책자금으로 구성돼 있다. 중소기업청, 문화체육관광부, 특허청 등 8개 부처가 출자해 현재 2조2271억원 규모로 운용 중이다. 한국벤처투자에서 위탁운용사(벤처캐피털)를 선정해 모태펀드 자금을 출자하면 운용사가 민간자금 등을 추가로 모집해 자펀드를 조성하는 방식이다


- 출처 : 한경 경제용어사전, 한국경제신문/한경닷컴



Posted by 조현민

트러블메이커 트럼프 대통령의 호혜세 언급 논란이 또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다소 생소한 세금인 듯 한데... 단어의 어원은 흔히 말하는 '상호주의', 또는 '상호호혜의 원칙'과 연관이 있을 듯 한데요. 


일단 네이버에서 '호혜주의'에 대해서 조사해 봤습니다. 




경제학사전

호혜주의

[reciprocity음성듣기]

무역 당사국들이 통상협정을 통해 호혜 관세(reciprocal tariff)라는 동등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상호간의 무역장벽을 완화시키고 무역증진을 도모하려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상호협정은 관세를 쌍방이 모두 인하함으로써 일방적으로 인하할 경우에 생길 국제수지적자의 위험을 감소시키므로 협정당사국 각각에게 안전한 관세인하의 방법이 된다. 이것은 또한 상호이익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관세삭감이 압력에 의한 굴종이 아니라 교환으로 받아들여지므로 정치적으로도 실시하기 쉽다.

출처 : 경제학사전

앞서 사전에도 언급했듯이 트럼프가 말한 '호혜세'는 호혜주의에 입각한 호혜관세의 내용과 유사한 내용입니다. 그러나 이번에 언급한 트럼프의 '호혜세' 취지는 양국간 동등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상호간의 무역장벽을 완화시키고 무역증진을 도모하려는 움직임 보다는 미국산 제품에 부과하는 세금만큼 한국, 중국, 일본에도 동일한 수입세를 부과함으로써 그간 한, 중, 일 삼국을 대상으로 한 무역적자를 해소할 보복관세 형태로 나타날 확률이 높아 보입니다. 


상호호혜세 (Reciprocal Tax) : 자국의 제품에 부과하는 세금만큼 대상 국가제품에도 동일하게 세금을 부과하는 형태의 세금을 뜻함. 


미국을 상대로 막대한 무역 흑자를 내는 국가로 대표적으로 언급한 한국, 중국, 일본을 상대로 동률의 관세를 매김으로서 보호장벽을 더 치겠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는데요. 


"특정 국가는 미국제품을 수입하는데 52%의 세금을 매기는 반면, 미국은 이들 특정 국가 제품을 수입하는데 그러한 세금을 매기지 않고 있다"고 언급한 것을 보면, 이로 인해 미국제품에 대한 경쟁력은 오히려 떨어지고 타 국가의 가격경쟁력만 안겨준다고 판단한 것이죠. 


그러나 한국, 중국, 일본 등 제품을 수입하면서 동등한 수준의 세금을 매길 경우, 당장 물가상승으로 이어져 소비자 피해가 커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 만큼 쉽게 결정내릴 사안은 아닌데요. 


미국을 상대로 막대한 무역 흑자를 내는 국가들을 상대로 동등한 수준의 관세를 매겨 압박함으로써 자국산업을 보호하고자 하는 트럼트의 정책이 어떤 효과와 주변국에 타격을 안겨줄 지 관심이 가는 사안입니다. 




Posted by 조현민

요즘 들어 ASMR이란 말이 부쩍 늘어난 걸 느끼지 않으셨나요?

'듣기 좋은 소음?'  정도로 알고 있었는데, 아무래도 석연치 않아 조금 더 찾아봤습니다. 


ASMR 

[요약] 자율감각 쾌락반응

외국어 표기

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영어)

뇌를 자극해 심리적인 안정을 유도하는 영상으로 바람이 부는 소리, 연필로 글씨를 쓰는 소리, 바스락거리는 소리 등을 제공해 준다. 

힐링을 얻고자 하는 청취자들이 ASMR의 소리를 들으면 이 소리가 트리거(trigger)로 작용해 팅글(tingle, 기분 좋게 소름 돋는 느낌)을 느끼게 한다. 2010년 무렵 미국, 호주 등지에서 유통되었으며 국내에서도 팟캐스트유튜브 등을 통해 접할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ASMR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요즘 유튜브 제목 등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ASMR 표시는 많은 이들이 즐겨 찾고 있는데, 이는 수면유도에 효과적이라고 밝혀지기도 했죠. 


ASMR을 느끼게 하는 자극이 바로 'ASMR 트리거(trigger)라고 합니다. 그런데 이런 트리거는 각자 개인마다 선호하는 것이 조금씩 다르다고 하네요. 즉 사람마다 느끼는 ASMR이 조금씩 다르다는 것이지요. 


대표적인 ASMR로는 바람 부는 소리, 연필로 글씨 쓰는 소리, 계곡물 흐르는 소리 등... 가만히 듣고 있으면 심리적으로 안정을 주는 잔잔한 소음들이 있다고 합니다. 





지금 유튜브에서 ASMR을 검색해보세요~ ^^ 



Posted by 조현민

젊은 친구들 언어 배우기.... ^^;; 


덕밍아웃
마니아를 뜻하는 일본말 '오타쿠'를 우리식으로 표현한 '오덕후'와 자신의 정체성을 외부에 공개하는 '커밍아웃'이 합쳐져 탄생한 신조어로, 자신의 오덕후 성향을 주위에 공개하는 것을 뜻한다. 

출처 : 네이버 오픈사전 



일코
일반인 코스프레의 준말, 어떤 연예인의 팬이지만 다른 사람들 앞에서는 아닌 척 하는 걸 일코라고 한다. 

출처 : 네이버 오픈사전




머글
소설 "해리포터" 시리즈에 나온 신조어. 마법사가 아닌 마법을 못쓰는 사람들의 총칭. 

: 덕후들 사이에서 덕후가 아닌 사람을 칭하는 은어이기도 함. 

ex) 친구들이 다 머글이라서 마음놓고 덕질을 할 수가 없어. 

출처 : 네이버 오픈사전 



현망진창

'현실 생활이 엉망진창'이라는 뜻의 신조어. 

주로 지나친 취미 활동으로 생활이 곤란한 지경일 때 사용한다. 

출처 : 네이버 오픈사전 


Posted by 조현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