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6.27(수)
|
EV
뉴스 클리핑
|
제목
|
무선충전 기술 선두주자 워프솔루션,
IT업계 혁신 예고(머니투데이, '18.06.25)
|
본문내용
|
현재 대중화된 무선 인터넷(Wi-Fi) 서비스처럼 이제는 충전 케이블이나 전원 콘센트 없이 실외에서도 자유롭게 스마트폰을 충전할 수
있는 시대가 열릴 전망이다.
|
요약 및 시사점
|
* 워프솔루션 세계 최초로 'RF' 이용한 무선충전 기술' 개발해 관련업계 비상한 관심. △원거리 충전, △멀티 충전, △자동 추적, △인체
안전성 등 4가지 기능을 충족
* 여러 대 전자기기 한꺼번에 충전, 여러 주파수 한 번에 사용하기 때문에 충전 효율
및 속도면에서도 우수. RF 무선충전 기술 가장 큰 장점은 활용범위가 무궁무진. 스마트기기부터 헬스케어 기기, 가전제품, 드론, 전기차 등 전력 이용 분야 어디든 기술 적용 가능. 5G 무선통신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고효율 초소형 RF파워앰프 모듈' 개발도 완료.
해외 시장 진출 주력
* 올해 1차적으로 1W 미만 IoT 기기 적용 시스템 개발해 판매, 이후 스마트기기, 헬스케어기기, 가전제품, 드론, 전기차 등 원거리 무선충전 기술 적용 범위 확대 계획
|
제목
|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ESS 사업 뛰어든 현대차
|
본문내용
|
현대차그룹이 에너지저장장치(ESS·Energy Storage System) 사업에 뛰어든다.
|
요약 및 시사점
|
* 현대차그룹 핀란드 에너지기업 바르질라와 재활용 배터리 ESS개발과
글로벌 사업화 추진 위한 파트너십 체결. 바르질라는 미국 ESS시장 30% 이상 점유하고 있는 ESS시스템 엔지니어링 전문업체 그린스미스
에너지 인수
* 신재생 에너지 연구기관 따르면 7~8년 정도 사용한 전기차 배터리 용도 변경해 재활용할
경우 초기 용량 70~80% 수준에서 10년 이상 연장
사용할 수 있음. 최근 전기차 판매 증가로 배터리 재활용 ESS시장
주목.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활발해지면 환경보호는 물론 전기차 가격 인하 효과. 전기차 재활용 배터리 물량 '16년 0.1GWh에서 '25년
29GWh로 늘어날 전망. 10GWh는 2만8000가구 한 달 사용 전력량. 코나 전기차 15만5000대 이상 충전할 수 있는 규모
* 현대차그룹은 현대제철 당진공장에 현대차 아이오닉EV, 기아차 쏘울 EV 재활용 배터리 기반으로 1MWh급 ESS 설비 구축 실증 사업 진행 중
|
제목
|
지역 미래 혁신성장,
4차 산업육성에 달렸다
<3>제주, 스마트에코 전기차 시티(무등일보, '18.06.27)
|
본문내용
|
신규 등록하는 차량 3대 중 1대는 전기자동차이고,
외지에서 온 누구나 언제나 부담없이 전기차를 렌트해 운행할 수 있는 곳, 바로 제주도다.
|
요약 및 시사점
|
* 제주 신규 등록 차량 30% 이상 전기차. 올해 계획물량 모두 보급되면 총 1만5천여대 차지 기대. 제주는 1회
충전으로 도내 일주 가능. 전기차 보급에 필요한 풍력,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와 연계 지리적 여건 갖춤. 이를 토대로 '12년부터 '30년까지 제주도내 모든 차량 전기차로 전환, 전력 수요 100%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하는 'CFI 2030' 추진
* 전기차 보급 정책도 차별화. JDC와 넥센테크 3자간
전기차 자율주행 정밀지도 구축 업무협약 체결. 이달부터 11월까지
서울대와 공동으로 '전기차 기반 자율주행 체계 구축 및 연관산업 육성 정책' 수립 계획. 이밖에 KAIST
친환경자동차연구센터 입주 완료하면 친환경차, 자율주행차 기술연구개발, 전문고급인력 양성 기반 구축 등 시너지 효과 기대
* 충전소 등 인프라 기반 풍성. 개방형 충전기 869기(급속 339기, 완속 530기) 구축. 일반
가정 홈충전기 8천339기 구축. 제주 올해말까지 80여기 개방형 급속충전기 추가 구축 예정. 장애인 등 교통약자 맞춤형 충전인프라 70기와 공동주택 주변
전봇대 활용한 충전 프리존 확대. 민간사업영역 확대 모델 구현해 나갈 방침. '14년부터 매년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 개최해 전기차 기반 확대
|
제목
|
보쉬 “한국 전기차시장 공략 본격화…올해
330억원 투자”(매일경제, '18.06.26)
|
본문내용
|
글로벌 전동공구 시장을 선도하는
보쉬가 국내 자동차 전동화 시장 공략에 나선다.
|
요약 및 시사점
|
* 보쉬 국내 자동차 전동화 시장 공략. 한국 시장에 총 330억원 공격적 투자 진행 계획. 한국 시장의 장기적 잠재성
확신
* 한국 자동차 관련 시장 및 산업 공략하기 위해 전동화, 커넥티비티, 자율주행 등 다양한 부문 준비. 단일 창구 통해 다양한 파워트레인
솔루션 제공 전략. 여러 부품을 하나의 유닛에 통합하는 트렌드를 반영한 전기엑슬 시스템뿐만 아니라
인버터 효율 향상시키고 있음
* 보쉬코리아 전 세계적 전기차 대중화 '20년 본격화 전망. 한국시장에서는 '25년까지 전체 차량 중 15~25% 전동화 이뤄질 것으로 전망. 커넥티드 모빌리티 시장
기대. IoT 솔루션 포트폴리오 확장 및 보안솔루션 제공 강조.
4차 산업기술 접목한 전동공구 제품 라인업 강화, 배터리 기술 및 모터 기술 개발도
지속. 국내 자율주행 시장 성장 가능성 시사. 자동화
주행 관련 시장 20% 가량 성장 예상, 레이다 및 비디오
센서 매출 40% 상승 자신. 이르면 '19년 운전자 조력 시스템으로 20억유로 매출 창출 예상
|